자바스크립트의 주요 연산자(산술연산자, 비교연산자, 논리연산자, 비트 연산자 등)의 의미를 설명합니다. 이외에도 다양한 연산자가 존재하지만 많이 쓰이고 쓰일 것 같은 연산자만 그때그때 보기 위해 정리합니다.
연산자(operator) : 물리학과 수학에서 어떤 함수에 작용해 그 함수를 다른 함수로 변형시키는 함수를 말한다. (wikipedia)
프로그래밍에서 연산자 : 프로그래밍 언어는 일반적으로 수학 연산과 유사한 연산자의 집합을 지원하다. 언어는 내장된 연산자의 정해진 숫자를 포함할 수 있다. 아니면 프로그래머가 정의한 연산자의 생성을 허용할 수 있다. 일부 프로그래밍 언어는 특정 특수문자와 같은 연산자 기호를 제한하기도 한다. (wikipedia)
연산자 |
의미 |
+ |
왼쪽값에 오른쪽값을 더함 / 각 값 타입이 string + number 이면 반환값은 string으로 연산 |
- |
왼쪽값에서 오른쪽값을 뺌 |
* |
왼쪽값에 오른쪽값을 곱함 |
/ |
왼쪽값을 오른쪽값으로 나눔 |
% |
왼쪽값을 오른쪽값으로 나누고 난 후, 나머지 |
= |
왼쪽 연산자에 오른쪽값을 대입함 / 보통 변수선언에서 사용; |
++x |
단항연산자, 값을 1증가시킨 후에 연산 진행 |
x++ | 단항연산자, 연산 진행 후 값을 1 증가시킴 |
== |
왼쪽과 오른쪽 값이 같으면 true 반환 |
=== |
왼쪽과 오른쪽 값이 같고 타입도 같으면 true 반환 |
!= |
왼쪽과 오른쪽 값이 같지 않으면 true 반환 / !는 반대를 의미 |
!== |
왼쪽과 오른쪽 같이 같지 않거나 타입이 다르면 true 반환 |
> | 왼쪽이 오른쪽보다 크면 true 반환 |
>= |
왼쪽이 오른쪽보다 크거나 같으면 true 반환 |
< |
왼쪽이 오른쪽보다 작으면 true 반환 |
<= |
왼쪽이 오른쪽보다 작거나 같으면 true 반환 |
&& |
AND / 논리식이 모두 true면 true 반환 |
|| |
OR / 논리식이 하나라도 true면 true 반환 |
! |
NOT / 논리식이 true이면 false 반환, false이면 true 반환 / 청개구리 |
비트형태(2진법) 연산자 | |
& |
AND / 대응 비트가 모두 1일 경우 1 반환 |
| |
OR / 대응 비트 중 1이 있기만 하면 1 반환 |
^ | XOR / 대응 비트가 다르면 1 반환 |
~ |
NOT / 모든 비트를 반전시킴 / 1은 0으로 0은 1로 |
<<x |
x만큼 비트를 왼쪽으로 이동시킴 / >>x는 오른쪽으로 |
>>>x |
x만큼 전부 오른쪽으로 이동시킴, 새 비트는 무조건 0 |
ternary opratore | |
example. ( x > y ) ? x : y 표현식이 true일 경우 x 반환, false일 경우 y 반환 * if 조건문 대신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음 |
댓글 영역